로고
ESG

콘텐츠의 세계화...<대장금>과 문화콘텐츠의 역할

천재 화가 장승업의 삶과 예술을 그린 작품

칸 국제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한 한국 영화의 걸작

전통 회화를 통해 한??

김학영 기자 | 기사입력 2024/12/02 [10:06]

콘텐츠의 세계화...<대장금>과 문화콘텐츠의 역할

천재 화가 장승업의 삶과 예술을 그린 작품

칸 국제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한 한국 영화의 걸작

전통 회화를 통해 한??

김학영 기자 | 입력 : 2024/12/02 [10:06]

 

본문이미지

▲ 당시 말 그대로 센세이션을 일으키면서 엄청난 흥행을 기록했다. 2003년 9월 15일 19.8%를 시작으로 한 시청률은 방송 1개월만인 9부에서 30%를 넘었으며, 결국 2003년 11월 10일 17부에서 40%를 돌파하였다.이후 계속해서 40%의 시청률 고공행렬을 기록하다가 2004년 3월 극중 대반전과 최 상궁이 죽었던 48부에서는 기어이 51.4%로 50%의 벽을 뚫고 만다. 49부와 50부는 시청률이 40%대로 떨어졌지만 51부부터는 다시 50% 시청률에 복귀. 결국 종영 때까지 계속 50%를 기록하였으며 2004년 3월 23일 54부 마지막 회에서 최고시청률 57.8%를 기록하였다.

 

한류의 기틀을 다진 드라마 <대장금>

2003년 9월 15일부터 2004년 3월 23일까지 방영된 MBC 대하드라마 <대장금>은 한류의 시작을 알리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의녀 장금의 일대기를 다룬 이 드라마는 평균 시청률 41.6%를 기록하며 국내는 물론 일본, 타이완, 홍콩, 이란 등 아시아 지역과 미국, 캐나다, 러시아, 터키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인기를 끌었다. 전통음식과 한의학이라는 독창적인 소재와 더불어 역경을 극복하며 성장하는 주인공의 보편적 스토리는 전 세계 시청자에게 큰 공감을 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성공은 '전통문화 기반 콘텐츠만이 세계적으로 통한다'는 편협한 인식을 조장하기도 했다.

 

콘텐츠와 문화콘텐츠의 차이점


콘텐츠는 '내용물'을 의미하며, 유형과 무형의 결과물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반면 문화콘텐츠는 문화적 요소가 가미된 '문화적 내용물'을 뜻한다. 콘텐츠는 단순히 정보의 집합체로도 성립할 수 있지만, 문화콘텐츠는 대중적 활용과 창의성을 통해 예술적 가치를 더한 결과물이다. 1990년대 IT 산업의 발달과 함께 콘텐츠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멀티미디어 콘텐츠'라는 개념은 다양한 디지털 정보를 통합하여 양방향 소통을 가능케 했다. 이후 한국에서는 일본의 사례를 참조해 '콘텐츠'라는 용어를 채택하며 본격적으로 대중화되었다.

 

문화콘텐츠라는 개념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 한류의 확산, 인문학의 위기, 용어의 결합력이라는 네 가지 배경에서 형성되었다. 디지털 기술은 다양한 문화 상품의 제작과 소비 과정을 통합하며, 이를 총칭하는 용어로 콘텐츠를 자리 잡게 했다. 1997년 외환위기로 촉발된 인문학의 위기는 각 대학이 문화콘텐츠학과를 신설하고 커리큘럼을 개편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한류의 확산은 정부가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해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과 같은 기관을 설립하게 만들었으며, 이는 문화콘텐츠 개념이 학계와 산업계에서 폭넓게 활용되는 기반이 되었다.

본문이미지

▲ 영화 <취화선>은 조선 후기의 천재 화가 장승업의 삶과 예술을 다룬 작품으로, 2002년 개봉 당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임권택 감독이 연출하고 최민식, 안성기, 유호정, 손예진 등이 출연하였으며, 제55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하며 한국 영화의 위상을 높였습니다.    

 


문화콘텐츠는 전통문화를 활용해 대중적인 형태로 재해석한 결과물을 포함한다. 과거 문화 원형을 중심으로 한 OSMU 전략은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재창조하는 데 주력했다. <대장금>을 비롯해 <왕의 남자>, <취화선> 등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작품들은 한류 콘텐츠의 전형으로 자리 잡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은 자국 중심주의적 성격을 띨 가능성을 내포하며, 전통문화와 현대적 콘텐츠의 균형 잡힌 발전이 요구되었다. 한국은 헌법 제9조에서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강조하며 문화콘텐츠를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콘텐츠 개념의 확장과 미래


콘텐츠는 디지털 중심의 개념에서 사회 전 분야로 확장되며 더 이상 디지털 콘텐츠와 오프라인 콘텐츠를 구분하지 않는 단계에 이르렀다. 또한 스토리텔링과 원형 이론 같은 인접 학문과의 연계를 통해 콘텐츠의 기획, 제작, 유통, 향유 방식이 다양화되었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민간 기업의 참여는 콘텐츠 산업의 양적, 질적 성장을 견인했다. 한류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콘텐츠의 다양성과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전통문화의 현대적 해석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대장금>에서 시작된 한류의 성공은 콘텐츠와 문화콘텐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로, 앞으로도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의 문화적 역량을 증명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본 기사 보기:내외신문
  • 도배방지 이미지